청약

고양 창릉 신도시: 사전청약에서 본청약으로!

바람.별 2025. 1. 20. 13:24
반응형

고양 창릉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난 해소와 미래형 도시 설계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설계된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서울 서북부에 위치하며, 고양시 덕양구와 인근 지역을 포함한 창릉 신도시는 약 3만 8천여 가구의 신규 주택을 공급할 예정으로, 수도권의 주거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창릉 신도시의 본청약 시점에서 드러나는 쟁점을 살펴봅니다.

 

 

1. 창릉 신도시의 장점

1) 교통 접근성

  • GTX-A 노선: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GTX-A)를 이용하면 창릉에서 서울역까지 20분 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대비 통근 시간을 50% 이상 단축시킵니다.
  • 도로망 확충: 기존 고속도로와 창릉 신도시를 연결하는 신규 도로 건설이 진행 중이며, 완공 시 차량 이동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쾌적한 생활환경

  • 녹지 비율: 창릉 신도시 면적의 약 30% 이상이 공원과 녹지로 계획되어 있어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대규모 개발이 이뤄지는 수도권 신도시 중에서도 상위 수준에 해당합니다.
  • 스마트 도시 설계: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친환경 기술과 자율주행 교통 시스템이 도입되어 지속 가능한 도시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주거 선택지

  • 창릉 신도시는 아파트, 공공임대주택, 단독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주거지를 포함하여, 실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2. 본청약과 관련된 주요 쟁점

1) 분양가 상승 가능성

  • 사전청약 대비 분양가 상승: 사전청약 당시 84㎡ 기준 약 6억 원대였던 분양가는 본청약 시점에서 7억 원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는 인건비와 자재비 상승, 시장 상황 변화 등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실수요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커지며, 초기 기대감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 분양가 상한제와 시장 변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더라도, 현재 불경기인 대한민국의 시장 환경은 소비자들이 사전청약과 본청약 간 가격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2) 교통망 완공 시점

  • GTX-A 노선의 완공 예정 시점은 2028년으로, 본청약 입주 예정일과 최대 3년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 입주자들은 교통 인프라가 완전히 갖춰지기 전까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3) 초기 생활 인프라 부족

  • 초기 입주 시 상업시설, 병원, 학교 등 주요 생활 편의시설의 완공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이에 따라 초기에 정착하는 주민들에게 생활 불편이 예상됩니다.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창릉 신도시

고양 창릉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난 해소와 미래형 도시 설계라는 비전을 품고 있습니다. 본청약을 앞둔 시점에서, 뛰어난 교통 인프라와 쾌적한 생활환경은 여전히 큰 장점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사전청약 대비 상승한 분양가는 실수요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면들을 면밀히 고려하여, 창릉 신도시가 제공하는 주거와 투자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